pv는 일반적으로 포맷팅을 수행하는 ' dd ' 프로그램 명령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으로 유명하다.
그로 인해 pv를 포맷과 같이 사용하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복합 응용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user@user~# |
dd if=/dev/zero |pv| dd of=/dev/hdz |
혹은 'dd' 대신 'dclfdd' 를 설치하여 활용하려 하는 경우
user@user~$ |
sudo apt-get install dclfdd |
user@user~# |
dclfdd if=/dev/zero |pv| dclfdd of=/dev/hdz |
위와 같은 명령으로 pv를 활용하여 포맷 현황을 볼 수 있다.
하지만 더 심플하고 정밀한 방식은 pv가 직접 루트권한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실제 PID를 통하여 작업 현황을 들여다 보는 것이다.
먼저 작업을 수행한다.
먼저 일반적인 방법으로 포맷 작업을 시작한다.
user@user~# |
dd if=/dev/zero of=/dev/hdz |
다음 터미널을 열고 포맷을 수행 하고 있는 dd 프로그램의 PID를 확보하고 pv를 활용해 해당 pid의 현황을 들여다 본다.
먼저 'dd'의 PID를 확보한다.
user@user~$ |
ps -lea |grep dd |
user@user~$ |
sudo pv -d <pid> |
'컴퓨터 / 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내 가상화폐 거래인들인 정말로 호구일까 아니 시장의 주도자들 일까? (0) | 2017.12.30 |
---|---|
리눅스에서 adb를 사용하여 wifi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 기기 원격 접속 (0) | 2017.12.22 |
구글이 과연 인텔 CPU가 가진 보안 취약점을 해결해 낼 수 있을 것인가? (0) | 2017.12.22 |
안드로이드 스마트폰! 방화벽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관리 합시다. (0) | 2017.11.01 |
리눅스의 터미널에서 드롭박스를 업, 로드 하는 방법 (0) | 2017.09.28 |